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직무특강] (3) 콘텐츠마케팅 현직자 직무캠프 by 코멘토 (2020.02.01.)
    직무공부_마케팅 2020. 2. 3. 22:32

     콘텐츠마케터의 업무 

    1. 고객 정의 / 고객 아바타 도출

    [고객 분석]

    1) '누가' 우리 제품(서비스)을 구매하고 있는가?

    - 우리 회사의 제품을 구입하는 고객에 대한 분석

    2) 고객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제품(서비스)을 구매하는가?

    - 고객의 Pain Point에 대한 분석

    ※ 마케터가 주목해야 할 지점: 구매전환율 하락 등의 문제에 대한 원인 분석

     

    [고객 아바타 도출]

    - 우리 회사는 어떤 고객(Customer Avatar)을 대상으로 제품(서비스)을 판매할 것인가? (Core Target)

    Ex) 주로 서울에 거주, 운동을 즐기는 2~30대 남성

    - Core Target을 벗어난 대상에게는 마케팅을 할 필요가 없다.

     

    2. Action Plan 기획

    - 콘텐츠 마케팅 전략의 전체적인 일정을 잡는 것

    - 고객 구매 여정, Angle/메시지/콘텐츠 콘셉트, 집행 채널/콘텐츠 포맷(형태) 및 제작 형식, 스케쥴링

     

    3. 고객 구매 여정(Funnel)별 목표 설정

    [구매 여정(Funnel)]

    일반적인 4단계의 Funnel

    • Stage 1 (인지, Acquisition): 제품(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탐지하는 단계
    • Stage 2 (탐색활동, Activation): 제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단계 (ex. 상세 페이지 클릭, 회원가입)
    • Stage 3 (고민, Consideration): 제품을 살지 고민하는 단계 (ex. 필요성, 실용성, 투자가치 고려)
    • Stage 4 (구매, Revenue): 제품을 구매하는 단계

    - Stage 4 직전에 이탈하는 고객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 이들을 끌어오는 것이 마케터의 핵심 업무이기 때문

    - Stage 5로 '소개(Referral)'를 덧붙이기도 함. (타인에게 제품을 추천하는 과정)

     

    [구매 여정별 목표 설정]

    - Funnel별로 얻고자 하는 성과를 설정: OKR 프레임워크(Objective & Key result)

    - 목표(Objective): Funnel에서 콘텐츠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

    - 주요 결과(Key result): 해당 목표의 달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4. 고객 구매 여정 별 Angle / 메시지 / 콘텐츠 콘셉트

    • Angle(꼭지): 중심주제
    • Message(메시지): 중심메시지(전달하고 싶은 내용)
    • Content Concept(카피): Key Copy 도출. 채널별로 형식을 변경하기 전에 바뀌면 안 될 핵심 카피! 

    5. 콘텐츠 콘셉트 아이데이션: 콘텐츠에 대한 아이디어를 짜는 과정

    ※ 고객의 일반적인 구매 결정 과정: 공감(1단계) → 기대감(2단계) → 신뢰(3단계) → 확신(4단계)

    - 고객의 구매 여정에 맞추어 적절한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

     

    [레퍼런스 참고]

    - 다른 브랜드와 제품은 자사의 상품(서비스)의 콘텐츠를 어떻게 발행하고 있는가?

    레퍼런스 자료 예시

    ※ 일상에서 수시로 메모를 하며 좋은 소스를 찾는 습관을 들이면 좋다.

     

    [집행 채널]

    - 집행 채널별로 적합한 전략이 존재한다. (Ex. Facebook: 바디 텍스트가 존재함)

    - Paid Media / Owned Media를 구분해 전략을 짜야 한다.

     

    [콘텐츠 포맷(형태) 및 제작 형식]

    - 집행 채널에 맞는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Ex1. 페이스북: 1080x1080 단일 이미지 콘텐츠 or 캐러셀 콘텐츠

    Ex2. 블로그: 키워드, 제목 등

     

    6. 스케쥴링(제작 일정, 집행 일자)

    - 콘텐츠의 제작 및 집행 일정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실제 근무시간을 고려해 계획하고, 제작 및 발행 계획은 지연되면 안 된다.

    ※ 콘텐츠 발행 일정은 고객과의 약속이자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수단이므로 절대 어기면 안 된다.

     

    7. 세부 콘텐츠 기획/제작

    - Paid Media / Owned Midea의 구분이 필요하다.

    - 협업을 위한(콘텐츠 마케터-영상 디렉터 or 디자이너) 커뮤니케이션용 기획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 광고 크리에이티브 제작 시 크리에이티브 덱(Creative Deck)을 제작하면 편리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