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주차] 오프라인 멘토링 1차 - 직무 Q&A (2020.02.06.)
    프로젝트/교내 취업스터디 4기 (20.02.06~02.20) 2020. 2. 18. 20:12

    취업스터디 1주차: 선배님과의 만남


     

    마케팅/영업 모델 (클릭 시 출처로 이동)

     

     

     업무 소개 

    - 사업내용: 단체급식 → 식품유통: 식자재 납품 to 외식업체(프랜차이즈, 개인업체, 호텔, 리조트)

    - B2B 마케팅 위주: 고객사 대표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 제안서, 접대도 함.

     

     영업 vs. 마케팅 (B2B 기준) 

    1) 영업 실무

    - 고객을 만났을 때,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고객에게 줄 수 있는 혜택 강조

    Ex) 삼성 웰스토리, CJ 프레시웨이보다 더 싼 가격에 납품

    - 입점/납품하는 것에서 영업이익이 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경우는 영업하지 않음.

    → 타사가 시행하는 비즈니스(납품 품목 etc.)를 먼저 파악해야 함.

     

    2) 마케팅 실무

    - 유관 부서에 협조 요청: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

    - 수주 마케팅: 타 부서의 백업 업무를 마케팅팀에서 시행하기도 함.

    Ex) PT 제작, PT 진행 등

     

     하루 일과 

    - 문의사항 정리 & 대응

    - 프로모션 진행 결과 집계, 품의서 결재 올리기 (보고서 작성 多)

    - PT 제작 능력, 보고서 제작 능력이 중요

     

     직무 역량 

    - PT능력 중시됨: 내용보다 논리와 태도!

    → 신입에게 특출난 내용을 기대하지 않음. 주장을 전개해 가는 논리와 긴장하지 않는 태도.

     

     Q&A 

    1.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성 지원자로서 합격을 위해 실질적으로 준비할 것이 있다면?

    - 추구하는 이미지: 똘똘하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다른 팀에게 지지 않을 느낌을 주는 것

    → 이해력이 빠르고, 우리 팀에서는 무난하지만 다른 팀과 싸웠을 때는 이길 수 있을 것 같은 사람.

    → 인사 직무는 조금 다름. '스펙'도 많이 보고, 다른 직무에 비해 스펙이 높은 편.

    - 독한 모습을 어필할 수 있는 경험을 활용하길 추천함: 소위 '여자답지 않은' 경험. 강한 이미지.

    - 여성 지원자를 위한 TO는 적다는 것을 명심할 것.

     

    2. 다른 팀과 '싸운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

    - 각자의 업무가 다르고, 업무진행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 있음.

    Ex) 마케팅팀에서는 프로모션을 위해 돈을 쓰고 싶다면, 재경팀에서는 최소한의 비용만을 지출하고자 함.

    - 소속 팀의 업무를 위해 유관 부서를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과정

     

    3. 공모전을 이력서에 쓴다면, 수상 유무가 중요한가?

    - 공모전에 제대로 참여했다는 느낌을 주려면 수상을 하는 것이 맞음.

    - 공모전으로 강점을 내세울 수 없다면 다른 강점을 내세우는 것이 좋음.

    → 인턴 > 대외활동/공모전: 회사생활을 했다는 것이 대외활동/공모전보다 더 강점으로 어필될 수 있음.

     

    4. 비상경 전공자라는 약점을 극복할 방법이 있다면?

    - 비상경 전공자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직무에 대한 확신이 있는가?'에 대한 의심 때문.

    → 마케팅 관련 도서를 지속적으로 읽고 있거나, 운영 중인 블로그를 제출하는 등 '마케팅 직무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어필

     

    5. 현재 근무하는 회사에서 영업팀과 마케팅팀의 직무가 어떻게 다른가?

    - B2B 영업: 회사 대표들을 만나 이른바 '영업을 틀 것'을 제안하는 것. 거래처 발굴도 포함.

    - B2B 마케팅: 영업 팀이 사용할 전략을 세워주는 것.

     

    6. 영업/마케팅과 M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영업/마케팅: 사업 담당 (마케팅: 영업전략 / 영업: 현장영업)

    - MD: 제품 담당

    ※ 영업 vs. 마케팅: https://sandlechew.tistory.com/10

     

    7. 신입 지원 시 접근 방법은?

    - 대부분 BM(Brand Manager)를 꿈꾸며 마케팅 직무를 희망하는데, 신입에게 BM을 맡기는 경우는 없다고 보면 됨.

    - '어떤 마케팅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어필하는 방법을 추천함. 거시적인 포부는 현실성이 없어 보임.

    Ex) 식자재 납품 > 외식 시장 > 개인 업체와 같이 세분화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하고 싶은지 어필.

     

    8. 시장 조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한다면?

    - DART: 가장 기본적인 사이트

    - 증권사 리포트: 산업 전반에 대한 Insight

    - 관심 산업에 대한 잡지: 매경 이코노미, 산업군별 매거진 등

    - 일반적인 뉴스를 많이 볼 것. 최대한 최신 뉴스로 많이 읽을 것.

    → 중요한 것은, 목표 기업에 대한 뉴스뿐 아니라 경쟁사에 대한 뉴스를 읽어야 한다는 것!

    → 경쟁사는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 목표 기업은 경쟁사와 어떻게 다른가?

     

    9. 남녀 성비는 어떤 수준인가?

    - 남 80~90%, 여 10~20%: 여성 신입사원은 주로 지원부서 혹은 사무 업무

    - 실질적으로 여성 지원자로서 영업 직무에 지원하는 것은 불리함.

    - 여성 지원자는 남성 지원자보다 독하게 준비해야 함.

     

    10. 여러 산업군을 준비하는 것이 좋지 않은 방법인가?

    - 상관없음. 현실적으로 한 산업군만 파는 것보다 여러 산업군을 파는 것이 가능성이 높음.

    - 산업을 보는 눈을 키운다면 소위 '덕후'가 아니어도 큰 장애가 되지 않음.

    - 피해야 할 접근법은 상품을 좋아해서 지원했다는 식의 접근.

    - 단점을 많이 캐치할 수 있다면 좋음. 실무는 개선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기 때문.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