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주차 과제] 콘텐츠 콘셉트 아이데이션 & 스케쥴링
    프로젝트/코멘토 직무부트캠프 (20.02.01~02.29) 2020. 2. 20. 16:48

    3주차 과제 수행: 콘텐츠 콘셉트 아이데이션 & 스케쥴링


    [과제 상세내용]

    더보기

    [과제설명]

    [과제]

    '직무부트캠프' 제품을 마케팅하는 콘텐츠 마케터로서, Owned Media 채널에 어떤 콘텐츠를 발행할 것인지 콘텐츠 마케팅 전략 수립하기

    ※ 포트폴리오 블로그 개설: 1주차~5주차간 수행한 실무를 정리해보기

    [3주차 과제]

    ※ 2주차에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콘텐츠 콘셉트를 아이데이션하고, 제작˙발행 일정을 스케쥴링하여 제안해주세요.

    1) 참고할만한 콘텐츠 레퍼런스 조사˙리뷰: 업계와 브랜드에 무관하게 좋은 콘텐츠로 생각하는 레퍼런스 조사, 왜 좋은지 짧게 리뷰

    2)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앵글˙키 카피와 부합하는 콘텐츠의 콘셉트 아이데이션 및 제안

    3) 콘텐츠 제작˙발행 일정 스케쥴링: 워킹데이 기준, 한달(20일)의 기간 동안 현실적으로 제작˙발행 가능한 일정 스케쥴링

     아이데이션  (참고링크)

     

    1. 아이데이션이란 무엇인가?

    - Idea + -ation: 아이디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중점을 둔 개념

    - 단순한 아이디어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님: 생성(Generating-새로운 아이디어 만들기), 발전(Developing),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ng) 과정을 아우르는 단어

     

    2. 아이데이션을 왜 해야 하는가?

    - 새로운 사고를 위한 뇌의 작용은 일상의 뇌작용과 다름.

     

    3. 아이데이션의 방법(여러 명이 하는 방법)

    1)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특정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발상하고 발언하는 방법

    2)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바탕으로 자유로이 발상하고 이를 카드에 적는 방법

    3) 6색 모자 기법(6 HAT): 참석자들이 서로 다른 색의 모자를 쓰고, 각 모자의 색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방법

    4) 스캠퍼(Scamper): 대체(Substitute), 결합(Combine), 응용(Adapt), 변형(Modify), 확대(Magnify)/축소(Minify), 다르게 활용(Put to other uses), 제거(Eliminate), 뒤집기(Reverse)의 약자

    - 다양한 발상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아이디어 창출 체크리스트

     

     3주차 과제: 콘텐츠 콘셉트 아이데이션 & 스케쥴링 

     

    1. 참고할만한 콘텐츠 레퍼런스 조사˙리뷰: 업계와 브랜드에 무관하게 좋은 콘텐츠로 생각하는 레퍼런스 조사, 왜 좋은지 짧게 리뷰

    레퍼런스 유형 표현방식 좋은 이유

    SSG.COM

    Video

    쓱=ㅅㅅㄱ=SSG

    SSG.COM

    강력한 메시지, 효과적인 표현

    - SSG.COM이라는 제품을 단순하고 재미있게 표현

    - 공식과 같이 쓱=ㅅㅅㄱ=SSG로 단정지으며 소비자의 인식에 깊게 박힘.

    - 강력한 영상 광고를 통해 자연스럽게 제품과 광고에 대한 Viral Marketing이 되도록 함

    → 실제로 네티즌뿐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 등 기관에서도 광고를 패러디함. 

    배달통

    Video

    "입 벌려, 00 들어간다."

    배달음식의 이미지

    적절한 모델 선정, 업종을 잘 보여주는 구성

    - '맛있는 녀석들'로 '잘 먹는다'는 인지도가 높은 김준현의 모델 적합성

    - 음식을 총으로 입에 쏘는 연출을 보며 누구나 '배달'이라는 키워드를 떠올릴 수 있음.

    LG생활건강 'FiJi'

     

    Video

    (노래)

    광고를 맡게 된 과정

    제품의 특장점

    제품 마케팅에 인플루엔서를 적절히 활용한 경우

    - '놀러가다가 일 때문에 집에 와서 만든 광고다'라는 상황을 통해 공감 및 웃음 유발

    -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재미있는 가사

    - 제품의 특장점을 가사로 표현해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암기하도록 함.

    Apple 'iPhone 6S'

    Image

    Video

    신제품의 기능

    강력한 카피

    - 이미 높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를 갖추고 있는 기업인 만큼, 기업/제품 자체에 대한 홍보보다 '전부 달라졌다'는 카피를 통해 신제품이 출시됨을 강조함.

    Homeplus the Club

    Image

    (SNS)

    제품과 관련한

    허구의 일화

    인스타그램의 특성에 맞는 이미지 구성, 흡입력 있는 본문

    - 고급스러움을 표방할 필요가 없는 마트의 특성에 맞게 재미있는 허구의 일화로 소비자의 공감을 유도함.

    Ex) 명절 산적꼬치: 산적꼬치 만드는 가정의 일화

    Ex) 립스틱캔디: 쿨톤웜톤대통합

    - 재치있고 흡입력 있는 본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반응을 이끌어냄.

    → 댓글 양상 역시 친구 태그가 주를 이룸.

    리얼클래스

    Video 영어 표현 퀴즈

    퀴즈 방식의 효과적인 활용

    - '000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라고 한 후에 오답을 먼저 제시하며 정답에 대해 궁금하게 하는 방식

    → 실제로 소비자들도 자신이 말한 답과 오답이 정확히 맞아 놀라워하는 반응을 보임.

    - 퀴즈→정답으로 이어지지 않는 구성이 오히려 광고의 몰입도를 높임.

    암스테르담 도시 슬로건

    Sign 도시 이름

    절대 잊을 수 없는 도시 슬로건

    - 'I Amsterdam'이라는 문장으로 도시 이름을 전달할 뿐 아니라, Viral Marketing이 되도록 만든 사례

    - I amsterdam: 'I am at Amsterdam', 'This is Amsterdam' 등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

    - 강력한 슬로건뿐 아니라 조형물로 제작해 'I amsterdam' 자체가 관광상품으로 자리잡게 함.

    SK하이닉스 '이천공장'

    Video SK하이닉스 이천공장의 위치 홍보

    '이천=SK하이닉스'의 공식을 만든 광고

    - SK하이닉스의 제품인 반도체를 '이천의 특산물'로 비유한 참신한 표현

    → '특산물'에 '반도체'라는 이상한 답을 적은 아이의 답안지를 통해 다음 내용을 궁금하게 함.

    - 스토리텔링: 단순히 상품을 제시하지 않고, 이야기를 녹여냄.

    경찰청 112센터

    Image 상황에 맞는 신고처 안내

    가장 효율적인 비주얼라이징

    - 상황에 맞는 신고처를 '사람의 표정'이라는 비주얼 도구를 활용해 직관적으로 풀어냄.

    - 내용 간의 위계를 잘 지킨 광고: 자연스럽게 신고번호 - 사람의 표정 - 상황으로 시선이 이동하도록 구성

    이순신 장군상 공사 가림막

    Install 공사 진행 중

    비틀어 생각하기의 절정

    - 이순신 동상을 단순 조형물로 보지 않고, '이순신 장군'의 동상이라는 점에 집중: '옷을 갈아입는다'는 접근

    결혼정보회사 듀오

    Image 업체명, 업체의 사업분야

    잊을 수 없는 카피

    - '결혼해 듀오'라는 카피를 통해 (1) 업체명을 알리고 (2) 사업분야를 알게 하는 이중 효과를 거두고 있음.

    - 결혼정보회사라는 사업분야에 맞게 모델을 부부처럼 보이게 함.

    캐논

    Video 카메라의 기능

    반전의 한 방, 광고모델의 적절한 활용

    - 흑백 처리된 화면과 크게 강조되는 '찰칵' 소리로 인해 광고에 집중하게 만듦.

    - 잔잔한 분위기의 끝에 '허쉐프'라는 모델의 이미지를 활용한 코믹한 반전

    - 마지막에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기능 강조 카피

     

    2.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앵글˙키 카피와 부합하는 콘텐츠의 콘셉트 아이데이션 및 제안

    3. 콘텐츠 제작˙발행 일정 스케쥴링: 워킹데이 기준, 한달(20일)의 기간 동안 현실적으로 제작˙발행 가능한 일정 스케쥴링

    https://drive.google.com/open?id=1jpoPDuTJ0AkrqvF7o-X-7lBYrpkUrVPdQQxAiugXhMQ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