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차 과제] 포트폴리오 블로그 & 고객 정의 및 고객 아바타 도출프로젝트/코멘토 직무부트캠프 (20.02.01~02.29) 2020. 2. 4. 15:19
1주차 과제 수행: 포트폴리오 블로그 & 고객 정의 및 고객 아바타 도출
[과제 상세내용]
더보기[과제설명]
[과제]
'직무부트캠프' 제품을 마케팅하는 콘텐츠 마케터로서, Owned Media 채널에 어떤 콘텐츠를 발행할 것인지 콘텐츠 마케팅 전략 수립하기
※ 포트폴리오 블로그 개설: 1주차~5주차간 수행한 실무를 정리해보기
[1주차 과제]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의 주요 고객(Core Target)의 특성을 조사, 정의하여 고객 아바타(Customer Avatar)를 도출할 것.
1)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이하 '제품')가 가진 특장점, 제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Value Proposition) 분석
2) 제품의 주요 고객 분석: '나이, 성별, 관심사'
3) 고객의 문제(Pain Point) 분석,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분석 (언제, 어디, 어떤 상황: Time, Place, Occasion)
4) 2, 3을 종합해 고객 아바타(Customer Avatar) 도출
포트폴리오 블로그 개설하기
1) 포트폴리오 블로그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 포트폴리오 블로그의 개설에 앞서, 다른 사람들은 포트폴리오 블로그를 어떻게 제작해 활용하고 있는지 찾아보았다.
-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이 포트폴리오 블로그를 활용하고 있었으나, 주로 IT/마케팅 직무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브런치, 자체 웹사이트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주로 작업물들을 올리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2) 포트폴리오 블로그 개설하기
- 스스로 웹사이트를 제작하면 형식에 메이지 않는다는 점이 좋아보여 Wix에서 홈페이지 제작을 시도했다. 그러나 (1) 직관적인 형태의 블로그를 구축하기 어렵고, (2) 편집이 생각보다 힘들며 (3) Full service 이용을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를 발견하고 최종적으로 티스토리를 플랫폼으로 결정했다.
- 네이버 블로그 대신 티스토리 블로그를 선택한 이유는 (1) 기본 디자인이 군더더기가 없고, (2) 기본 제공되는 형식과 기능이 간단하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네이버에 비해 전문적인 분야를 다루는 블로그가 더 많은 플랫폼이라고 느꼈다.
유튜브 광고에서 봤던 Wix.com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해보려 했으나 너무 어렵고, 비용을 지불해야 해서 선택하지 않았다. 티스토리 블로그 화면. Wix에 비해 디자인은 단순하지만 관리가 쉽고, 편집도 용이하다.
[사전조사] '직무부트캠프' 제품을 서비스하는 '코멘토'가 가진 Owned Media 채널
1.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upgrade_me_30min)
- 직무부트캠프, 현직자의 취업 꿀팁, 현직자의 직무 소개, 현직자 취업 상담
2. 브런치 (https://brunch.co.kr/@comento#articles)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곳*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코멘토를 만들어가는 현직자 멘토들, 현직자가 알려주는 취업 가이드, 코멘토 이야기, HR 이슈, 스타트업 채용공고, 코멘토 추천채용으로 채용한 기업들
3.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comento.kr/)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후기, 코멘토 이야기
4.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omento.kr)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후기, 취업 꿀팁, 스타트업 채용 공고
1주차 과제: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의 주요 고객(Core Target) 특성 조사/정의, 고객 아바타(Customer Avatar) 도출
1.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이하 '제품')가 가진 특장점, 제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Value Proposition) 분석
[제품의 특장점]
1) 실무와 최대로 근접한 직무경험
a. 직무특강과의 차별성
- 직무특강은 비교적 다양한 곳에서 제공하고 있지만(ex. 현직자 인터뷰, itdaa, 경기도일자리카페 등), 일반적으로 '직무 설명, 직무 역량 설명, 직무와 관련한 스펙 설명'에 그치는 설명회의 형식임. (확실한지 체크)
→ 제품 특장점: 5주의 기간 동안 실무와 근접한 과제를 수행하며 직무를 직접 경험할 수 있음. (관련 입증 자료 첨부?)
b. 인턴십과의 차별성
- 인턴십은 (1) 합격을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하고, (2) 회사의 교육 시스템에 따라 실질적인 업무수행 없이 인턴십이 종료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음.
→ 제품 특장점: (1) 수업 참여 비용과 5주 간의 시간만 투자하면 되고, (2)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는 캠프 참여가 불가능하기에 확실히 직무를 경험할 수 있음.
c. 타 직무체험캠프/직무경험캠프와의 비교 (피드백 후 수정)
직무부트캠프 현직자 리드 직무스터디 미니인턴 제공업체 (주)코멘토
(comento.kr/edu)
주식회사 디3
(mind3.co.kr/withexpert)
(주)오픈놀
(miniintern.com/projects)
참가대상 누구나, 선착순(결제 순) 누구나, 선착순(결제 순) 참가신청자 중 선발 소요시간 5주 2주 2주 가격 정가 300,000 / 할인가 180,000 정가 100,000 / 할인가 80,000 가격정보 없음 구성 현직자 세션 3회, 과제 5회 현직자 세션 2회 세션 2회 캠프 내용 직무/과제 소개, 과제 발표/피드백 직무/채용관련 소개, 이력서/자소서 중간 제안서 제출, 최종 제안서 제출 제공캠프 수 100개 이상(20.02.19.기준)
7개(20.02.19.기준) 2개(20.02.19.기준)
특이사항 온라인 캠프 有 자소서 컨설팅 포함 참가자 선발과정 있음 기타 서비스 현직자 멘토 1:1 Q&A, 현직자 직무소개, AI자소서첨삭 취업컨설팅, 직무특강(원데이), 취업관련 도서 출판, Self Study 자료제공 - 2) 세분화되어 개설된 캠프
- 같은 직무라도 제품의 유형, 사업특성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업무, 요구역량의 순위가 달라짐.
Ex. 마케팅-소비재 / 제조업 / 유통 및 서비스 / 부품 및 중화학에 따라 업무의 성격이 달라짐.
→ 제품 특장점: 수강생이 원하는 직무와 제품 유형을 골라 직무를 경험할 수 있음.
직무별/제품유형별로 세분화되어 개설되어 있는 직무부트캠프. (클릭 시 사이트로 이동) [Value Proposition]
더보기※ Value Proposition(제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 A statement which identifies clear, measurable and demonstrable benefits consumers get when buying a particular product or service.
- The value a company promises to deliver to customers when they choose to buy the product.
- Should convince consumers that the product or service is better than others on the market.
- Declaration of intent or a statement that introduces a company's brand to consumers by telling them what the company stands for, how it operates, and why it deserves their business.
1) '코멘토(제품 제공 기업)'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 참고기사 1 2 3)
- 정보와 기회의 평등: 구직자들 간의 정보격차(정보량의 불평등)를 줄이기 위한 서비스(직무부트캠프, 멘토링서비스) 운영
- 직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취업, 이직, 전직까지 모든 직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것
2) 제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a. 취업준비/이직을 위해 직무가 궁금한 고객: 현직자가 직접 개설한 실무형 과제를 통해 실무를 경험할 수 있음.b. 직무 경험이 부족한 취업준비생 고객: 현직자가 직접 제시한 실무형 과제를 통해 직무 경험, 포트폴리오, 수료증을 얻을 수 있음.¶Q1: Value Proposition은 압축되어서 하나로 정리되어야 하는 것인지? 여러 개여도 상관은 없는 것인가?
¶Q2: 제품을 구입했을 때 고객이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고객의 유형에 맞추어 Value Proposition을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지?
이 부분을 멘토님께 질문한 후, Value는 하나로 모아져야 한다는 답변을 받아 수정하였다.
현직자가 직접 제시하는 실무형 과제를 통해 직무 경험을 쌓고, 취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2. 제품의 주요 고객 분석: '나이, 성별, 관심사'
3. 고객의 문제(Pain Point) 분석,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분석 (언제, 어디, 어떤 상황: Time, Place, Occasion)
- 고객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고객 인터뷰'를 택했다. 식료품,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이 이용자 통계 자료가 존재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질문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까?]
- 멘토님의 질문 구성 예시(더보기)
더보기[고객 인터뷰 질문 예시]
Q1.A) 서비스 사용 목적: 제품을 구매한 이유?
Q2.A) 서비스 유용성: 제품의 어떤 부분이 유용할까요?
Q3.A) 바이럴: 제품을 친구 혹은 지인에게 추천한다면, 어떤 서비스라고 말하고 싶은지?
Q1.B) 서비스 활용 방법: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Q2.B) 특정 상황 유용성: 제품을 주로 언제 사용합니까?
Q3.B) 바이럴: 제품을 친구 혹은 지인에게 추천한다면, 어떤 서비스라고 말하고 싶은지?
- Demographics(특성) / Goals(목표) / Pain Point(힘든 점) /
- Values(제품에 느끼는 가치) / Challenges(제품 구매까지의 장애 요소)
질문을 구성하기 전에, 질문을 통해 알고 싶은 내용을 먼저 list-up 해보았다.
[고객 인터뷰를 통해 알고 싶은 것]
1) Demographics: 고객의 특성(성별, 연령대, 직업)
2) Goals: 제품 사용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
3) Pain Point: 제품과 관련된 상황에서 겪고 있던 어려움
4) Values: 제품에 느끼는 가치
5) Challenges: 제품 구매까지의 장애 요소
6) Pattern: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Time, Place, Occasion)
알고 싶은 내용 리스트를 만들었지만, 질문을 구성하다 보니 제품 이용 후기를 수집하는 것처럼 질문이 구성되었다.
설문의 목적은 Core Target인 고객 아바타를 도출하는 것이므로, 목적에 어긋나지 않게 질문을 조정했다.
조정을 통해 다시 정리해 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Demographics: 고객의 특성(성별, 연령대, 직업, 구입한 제품 유형)
- Acquisition: 제품을 알게 된 경로
- Goals: 제품을 통해 얻고자 했던 것은?
: 취업준비(직무탐색), 취업준비(직무경험), 이직준비(직무탐색), 기타
- Pain Point: 취업/이직준비와 관련해 겪고 있던 문제는?
: 직무의 상세 내용을 알기 어려웠다. / 직무와 관련한 경험을 쌓기가 어려웠다. / 현직자를 만나기 어려웠다. / 기타
- Values: 제품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는?
- Challenges: 제품 구매에서 망설여지는 부분이 있었다면?
: 캠프 일정, 가격, 장소(오프라인), 기타
- Values: 제품 구매를 통해 해결된 문제는?
: 직무에 대해 알게 되었다. / 직무 경험으로 취업에 도움을 받았다.
- Pattern: '직무부트캠프'를 취업에 어덯게 활용했는지?
[질문지 제작]
면대면으로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워, 구글 설문지 폼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지를 제작했다.
질문이 너무 많을 경우 응답 도중 이탈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고려해, 10개 내외의 질문으로 압축했다.
처음 제작한 설문지는 8-1번 항목과 12번 항목을 뺀 11개의 항목이었다.
질문 및 선택지
문항 설정 의도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여성 ② 남성 ③ 기타
Demographics: 고객의 특성 (성별)
2. 귀하는 다음 중 어떤 연령대에 속하십니까?
- '직무부트캠프' 참여 당시의 연령대를 선택해주세요.
① -19세 ② 20대 초반(20-24세) ③ 20대 후반(25-29세)
④ 30대 초반(30-34세) ⑤ 30대 후반(35-39세)
⑥ 40대 초반(40-44세) ⑦ 40대 후반(45-49세) ⑧ 기타
Demographics: 고객의 특성 (연령)
이직 준비를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이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40대까지 선택지에 포함하였다.
3. 귀하의 직업을 골라주십시오.
- '직무부트캠프' 참여 당시의 직업을 선택해주세요.
① 중, 고등학생 ② 대학교 1~3학년(2년제의 경우 1학년)
③ 대학교 4학년 ④ 취업준비생(졸업) ⑤ 직장인 ⑥ 기타
Demographics: 고객의 특성 (직업)
재학생의 경우 주로 '직무탐색'을 위해,
취업준비생의 경우 주로 '직무경험'을 위해
제품을 구입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5번 항목과 종합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과 취업준비생을 세분화했다.
4. '직무부트캠프'를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체크해주세요.
① 인스타그램 광고 ② 페이스북 광고 ③ 유튜브 광고
④ 구글 광고 ⑤ 학교 홈페이지 ⑥ 지인 추천 ⑦ 기타
Pattern: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제품에 대해 인식하는 경로를 파악하고자 했다.
5.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얻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① 취업준비(직무탐색)
② 취업준비(직무경험)
③ 이직준비(직무탐색)
④ 기타
Goals: 제품 사용을 통해 추구하는 목표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를 크게
직무탐색, 직무경험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선택지를 구성했다.
6. 취업/이직 준비와 관련해 겪고 있던 문제는 무엇이었습니까?
① 해당 직무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업무를 알 수 없었다.
② 희망 직무와 관련한 직무 경험이 없었다.
③ 현직자를 만날 기회가 없었다.
④ 기타
Pain Point: 제품과 관련된 상황에서
겪고 있던 어려움
7.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직무 탐색 기회의 부족
② 직무 경험의 부족
③ 기타
Values: 제품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
8. '직무부트캠프'에 참여하기 전 망설여지는 부분이 있었다면, 어떤 이유 때문이었습니까?
① 캠프 일정
② 참가 비용
③ 교육 장소
④ 기타
Challenges: 제품 구매까지의 장애 요소
8-1. '직무부트캠프'의 참가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하신 경우, 어느 정도의 가격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을 몇 개 받아보니, 모두 참가 비용이 가장 큰 장애 요소라고 응답하여 추가하였다.
9. 참여하신 '직무부트캠프'의 형태는 어떤 것이었습니까?
① 온라인
② 오프라인
Pattern: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10.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해결된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직무에 대한 지식 확충
② 직무 경험 획득
③ 기타
Values: 제품 구매를 통해 해결된 문제
11. '직무부트캠프'를 취업/이직 준비에 어떻게 활용하셨습니까?
① 희망 직무를 정하기 위한 정보 탐색 도구 (희망 직무 설정에 활용)
② 희망 직무 지원을 위한 직무 경험 (이력서, 자기소개서에 활용)
③ 기타
Pattern: 제품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패턴
12. '직무부트캠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체크해주십시오. (척도형)
1(매우 불만족) ~ 5(매우 만족)
제품 유형(온라인, 오프라인)과
제품 구매 목적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는지 궁금하여 추가하였다.
표에 적은 것처럼, 3~4명의 응답을 받아본 결과 모두 제품 구매의 장애 요인으로 '가격'을 꼽았다.
고객이 제품의 가격이 비싸다고 느끼는 것인데, 그렇다면 현재 고객들은 제품의 가치를 어느 정도로 책정하고 있는지 궁금해 8-1번 항목을 추가하였다.
12번 항목의 경우, 고객 유형(취업준비생/이직준비자 등)과 이용한 제품 유형(온라인/오프라인)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는지 궁금해 추가하였다. 특정 고객 유형이나 제품 유형에서만 만족도가 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인터뷰 대상 선정 및 인터뷰 진행]
제품을 구매한 고객의 정보를 전부 확보할 수 없기에, 인터넷 상에 후기를 남긴 고객 중 1) 본인이 비용을 지불해 캠프에 참여했고, 2) 캠프 수강을 완료한 고객을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코멘토로부터 소정의 상품을 제공 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는 블로그가 대부분이었는데, 여기에 언급된 상품이 직무부트캠프 참여 비용 면제가 아닌 원고료 지급임을 확인한 후 해당 블로그들도 모두 포함하였다.
총 40개의 블로그에 협조 요청 댓글을 남겼고, 이 중 22개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2020.02.06. 12:00 기준)
[인터뷰 결과 요약]
질문 및 선택지
답변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여성 ②남성 ③기타
2. 귀하는 다음 중 어떤 연령대에 속하십니까?
- '직무부트캠프' 참여 당시의 연령대를 선택해주세요.
①-19세 ②20대 초반(20-24세) ③ 20대 후반(25-29세)
④ 30대 초반(30-34세) ⑤ 30대 후반(35-39세)
⑥ 40대 초반(40-44세) ⑦ 40대 후반(45-49세) ⑧ 기타
3. 귀하의 직업을 골라주십시오.
- '직무부트캠프' 참여 당시의 직업을 선택해주세요.
① 중, 고등학생 ②대학교 1~3학년(2년제의 경우 1학년)
③ 대학교 4학년 ④ 취업준비생(졸업) ⑤ 직장인 ⑥ 기타
4. '직무부트캠프'를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체크해주세요.
① 인스타그램 광고 ② 페이스북 광고 ③ 유튜브 광고
④ 구글 광고 ⑤ 학교 홈페이지 ⑥ 지인 추천 ⑦ 기타
5.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얻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① 취업준비(직무탐색)
② 취업준비(직무경험)
③ 이직준비(직무탐색)
④ 기타
6. 취업/이직 준비와 관련해 겪고 있던 문제는 무엇이었습니까?
① 해당 직무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업무를 알 수 없었다.
② 희망 직무와 관련한 직무 경험이 없었다.
③ 현직자를 만날 기회가 없었다.
④ 기타
7.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직무 탐색 기회의 부족
② 직무 경험의 부족
③ 기타
8. '직무부트캠프'에 참여하기 전 망설여지는 부분이 있었다면, 어떤 이유 때문이었습니까?
① 캠프 일정
② 참가 비용
③ 교육 장소
④ 기타
8-1. '직무부트캠프'의 참가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하신 경우, 어느 정도의 가격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0-15만원 사이
9. 참여하신 '직무부트캠프'의 형태는 어떤 것이었습니까?
① 온라인
② 오프라인
10. '직무부트캠프'를 통해 해결된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직무에 대한 지식 확충
② 직무 경험 획득
③ 기타
11. '직무부트캠프'를 취업/이직 준비에 어떻게 활용하셨습니까?
① 희망 직무를 정하기 위한 정보 탐색 도구 (희망 직무 설정에 활용)
② 희망 직무 지원을 위한 직무 경험 (이력서, 자기소개서에 활용)
③ 기타
12. '직무부트캠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체크해주십시오. (척도형)
1(매우 불만족) ~ 5(매우 만족)
4점이 가장 많았음.
[제품의 주요 고객 분석] - 근거는 위 표의 응답 비율 참고
1) Demographics(성별/연령/관심사): 여성, 20~29세(20~24세보다 25세~29세의 비율이 더 높음), 취업/직무탐색
2) Goals: 취업 준비에 도움을 받고 싶다.
3) Pain Point: 직무 경험 부족 / 직무에 대한 정보 부족 / 현직자를 만날 기회가 없음
4) Values: 직무에서 수행하는 실무에 대한 정보를 얻고, 직무 경험을 얻는다.
5) Challenges: 참가 비용이 너무 비쌈.
- 적절한 비용은 얼마라고 생각하는지 물었을 때 약 70%가 10~15만 원이라고 대답했다.
6) Pattern
- Time: 주로 대학 졸업 후 취업을 준비하는 시기에 구매한다.
- Place: 주로 인스타그램 광고, 지인 추천을 통해 제품을 인식한다.
- Occasion: 취업 준비를 위한 직무 경험이 필요할 경우 구매한다.
4. 2, 3을 종합해 고객 아바타(Customer Avatar) 도출
- Demographics:
20~29세, 여성, 취업에 관심있음.25~29세, 여성, 취업에 관심있음.취업/직무탐색 고객 아바타가 분석한 주요 고객보다 넓은 것은 좋지 않다는 멘토님의 피드백을 반영해 수정
- Goals: 취업 준비에 도움을 받고 싶음.
- Pains: 직무 경험 부족 / 직무에 대한 정보 부족 / 현직자를 만날 기회가 없음.
- Needs: 직무와 관련한 경험을 얻고자 함.
- Values: 직무에서 수행하는 실무에 대한 정보를 얻고, 직무 경험을 얻는다.
'프로젝트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20.02.01~02.29)'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과제] 세부 콘텐츠 기획 및 제작 (0) 2020.02.28 [3주차 과제] 콘텐츠 콘셉트 아이데이션 & 스케쥴링 (0) 2020.02.20 [3주차] 오프라인 세션 2차 - 과제 피드백/카피를 쓰는 방법 (0) 2020.02.18 [2주차 과제] 고객 구매 여정별 목표 수립 & 앵글(Angle)/키 카피(Key copy) 도출 (0) 2020.02.12 [1주차] 오프라인 세션 1차 - 콘텐츠 마케팅이란? (0) 2020.02.03